* 강 사: 김정환 우아한 형제들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http://jeonghwan-kim.github.io/|홈페이지]])
== 커리큘럼 == === 강의노트 ===
* [[http://jeonghwan-kim.github.io/series/2019/12/09/frontend-dev-env-npm.html|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의 이해: NPM]]
* [[http://jeonghwan-kim.github.io/series/2020/01/02/frontend-dev-env-webpack-intermediate.html|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의 이해: 웹팩(심화)]]
=== 실습 ===
* https://github.com/jeonghwan-kim/lecture-frontend-dev-env
== 학습내용 ==
* NPM은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로젝트 빌드 도구
* 버전 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규칙이 필요한데 이 체계를 “유의적 버전”이라고 한다. NPM은 이 [[https://semver.org/lang/ko/|유의적 버전(Sementic Version)]])을 따르는 전제 아래 패키지 버전을 관리한다. 유의적 버전은 주(Major), 부(Minor), 수(Patch) 세 가지 숫자를 조합해서 버전을 관리한다.
<nowiki>
* 주 버전(Major Version): 기존 버전과 호환되지 않게 변경한 경우
* 부 버전(Minor version):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기능이 추가된 경우
* 수 버전(Patch version): 기존 버전과 호환되면서 버그를 수정한 경우
</nowiki>
[[분류: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