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답안작성 방법론

1,745 바이트 추가됨, 2020년 2월 14일 (금) 00:27
새 문서: == 소개 == ITPE 답안지작성강의 요약 == 일반 원칙 == * 처음에는 답안지에 멋을 부리지 않는다. 지금은 담백한 답안지, 지식이 들어간 답안...
== 소개 ==

ITPE 답안지작성강의 요약

== 일반 원칙 ==

* 처음에는 답안지에 멋을 부리지 않는다. 지금은 담백한 답안지, 지식이 들어간 답안지를 작성해라.
* 오타를 내지 않는다.
* 답안에는 공백을 만들지 않는다.
* 그림을 그릴 때 목차영역을 침범해도 되지만, 우측에 공백이 남으면 안 된다.
* 1교시는 3단락(I. ~ III.)까지 쓰는 게 일반적이다.
* 1교시는 사실중심으로 작성한다. 기대효과 등 추상적인 내용은 지양한다.
* '''문제와 문제는 두 줄'''을 띄운다.

== I 단락(정의) 작성방법 ==

* 정의는 2줄로 작성하며, 항상 우측 끝에 가득 차도록 작성한다.
* '''~하는 것''' 으로 끝내지 말고, 가장 상징적인 명사(단어)로 마친다. (~서비스, 기술, 인프라, 분류, 패러다임, 트렌드 등 가장 가깝고 상징적인 표현 사용)
* (예) 처음 로마자 I 옆에는 아래와 같은 문구가 들어간다.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24 * 365 연속기반, DRS의 개요(개념 또는 이해)'''

== 답안작성 마무리 방법 ==

* '''"끝"'''은 같은 줄에 쓴다.
* '''"이하빈칸'''은 '''"끝"''' 다음 줄 중앙에 쓴다.

== 기본 탬플릿 ==

I. 개요(개념 또는 이해)
가. 정의
나. 특징, 필요성(등장배경) - ''글로 해도 되지만 표로 작성해도 된다''

II. 구성도 및 구성(기술)요소
가. 구성도
나. 기술요소

III. 비교

== 참고사항 ==

* 답안지를 받으면 페이지를 쉽게 넘길 수 있도록 접히는 부분을 미리 접어둔다.
* 답안지는 22줄이다.

[[분류:정보관리기술사]]
[[분류:기술사]]
[[분류:답안작성]]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