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죄가 자랄 수 있는 이유는 편의주의 때문이다. 편한 것을 추구하는 마음 때문이다. 큰 교회에 가면 편하니까 거기에 많이 간다. 이러한 교인을 토끼구멍(rabbit hole) 신자라고 부른다.
== IT관련 기사 ==
=== 윈도우 품질 저하 관련 ===
기존의 QA 팀 대신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 수행.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은 수많은 사람이 참여해 윈도우의 정식 출시 이전 버전을 점검한다. 보수도 받지 않는다.
2014년 전까지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를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분석하는 전담팀을 두고 있었다. 그해 마이크로소프트는 테스트를 가상머신에서 하기 시작했다. 테스트를 담당했던 마이크로소프트 수석 소프트웨어 개발 엔지니어 제리 베르그에 따르면, VM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테스트팀을 원래대로 돌려놓지 않았다.
기존 테스트팀은 윈도우 빌드를 수많은 서로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와 시스템 구성에 설치해 체계적인 방법으로 자동화된 테스트를 실행해 수많은 버그를 발견했다. 테스트팀은 많은 일을 했다. 버그를 분석해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엔지니어가 어떤 작업을 해야 하는지 도와주기도 했다. 베르그는 가상머신은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종류의 버그를 찾아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nowiki>
윈도우 인사이더는 윈도우의 출시 전 버전을 테스트하고 버그를 마이크로소프트 피드백 허브(Feedback Hub)를 사용해 보고하겠다고 약속한 사람들이다. 이를 통해 인사이더가 얻는 혜택은 운영체제의 출시 전 버전을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이다. 물론 출시 전 버전의 윈도우는 안정성이 떨어지고 버그투성이인 경우가 많으며, 흔히 마무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윈도우 자체를 죽일 수도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많은 인사이더에게는 다음 버전 윈도우에 어떤 기능이 들어있는지를 미리 볼 수 있다는 것을 자랑할 권리가 생긴다.
</nowiki>
베르그는 오늘날의 윈도우 테스트에 대해 “근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체계적인 테스트를 진행하던 피와 살로 이루어진 사람을 소비자로 대체했다”고 지적했다.
* [[http://www.itworld.co.kr/news/133138|출처: "산 게 비지떡" 윈도우 품질 테스트 크라우드소싱 전략, IT World]]
== 웹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