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트렌드 2020(책)

라이언양 위키
라이언양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5월 3일 (일) 15:27 판 (비욘드 핀테크 시대의 개막)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업데이트 중

19세기에는 자동차가, 20세기에는 인터넷이 있다면 21세기에는 블록체인이 있다. - 돈 탭스콧(<블록체인 혁명> 저자)

1 프롤로그

블록체인은 머신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것이다.

블록체인은 초연결 시대의 흐름과 함께 다양한 트렌드를 이끌 것이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거래’의 개념을 재정의할 것으로 예상한다. 현시대에서 이뤄지는 대부분의 거래는 중개자를 통해 진행된다. 온,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의 신용거래는 카드사가, 부동산 매매를 위한 임대인과 임차인의 거래는 공인중개사가, 해외 송금을 위한 외환거래는 은행이 거래를 중개한다. 중개자들은 거래하는 상대방의 신원과 상품을 보증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인터넷의 등장 이후 타인과의 거래를 위해 중개자의 존재는 필수가 되었다. 그 결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해졌지만 수수료라는 거래 비용이 가중되었다.

블록체인은 중개자라는 ‘신뢰’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위조가 불가능한 원장 기반의 데이터로 거래를 중개하는 것이다. 이는 중개 수수료로 인한 거래 비용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의 특성을 통해 참여자들의 신원도 보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거래의 주체가 사람에게 ‘사물’까지 확대된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여 냉장고가 우유를 주문하고, 자율주행차가 주차장에서 주차료를 정산하는 모습 등 사물의 경제 활동을 머지않아 보게 될 것이다.

2 들어가며

블록체인 시장의 미래를 밝게 보는 이유는 블록체인이 인터넷과 같은 기반 기술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상징하는 키워드가 확장이라면, 블록체인을 상징하는 키워드는 신뢰다. 신뢰 관계 구축을 위해 투입되던 비용과 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축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가트너(Gartner)는 2018년 비즈니스에 영향을 줄 10대 기술 중 하나로 블록체인 기술을 선정했고, 그 부가가치가 2030년에 3조 1천억 달러(약 3,53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나라는 암호화폐를 법적 화폐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 중국: 암호화폐를 엄격히 규제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전 세계에 공개된 블록체인 특허 중 48퍼센트를 확보. 

- 일본: 2016년 자금결제법을 개정하여 암호화폐를 공식 결제 수단으로 인정. 

- 미국: 암호화폐 규제와 블록체인 투자를 동시에 진행하며 민간 기업들과 함께 블록체인 산업 육성. 미국 국세청(IRS)은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해 세금을 부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암호화폐를 디지털 자산으로 분류해 관리하려는 움직임 보임. 즉, 암호화폐 자체를 제도권 내로 편입시켜 규제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됨.

블록체인 기술 기업들의 현황

- 삼성전자: 블록체인 키스토어. 갤럭시 S10부터 스마트폰에서 가상화폐 송금을 지원하는 기술.

- 네이버: 링크. 일본 라인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플랫폼.

- 카카오: 클레이튼. 카카오톡의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 월마트: 푸드 트러스트. 식품이 원산지에서 소비자 식탁까지 가는 이력을 추적해 분산 기록.

- 페이스북: 블록체인 전담 부서를 만들어 자사 전용 스테이블 코인 발행.

- 아마존: 이커머스가 아닌 AWS를 중심으로 블록체인의 서비스화.

3 제1장 블록체인이 미래다

3.1 블록체인, 한 번에 이해하기

블록체인은 ‘나카모토 사카시’라고 불리는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2009년에 만든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이다.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 열풍에 가려져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블록체인이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을 기반으로 거래를 구현하기 때문이다. 원장(ledger)은 거래를 기록하고 확인할 목적으로 보관하는 거래 내역 장부를 말한다. 기존에는 보안을 위해 정부나 기업 같은 관리 주체의 중앙 서버에 원장을 보관했다.

하지만 분산원장은 중앙 서버가 아닌 사용자들의 저장 공간에 보관되고 사용자들에 의해 관리된다. 관리 주체가 담당하던 거래 내역 검증과 부정 거래 탐지 역할도 사용자 간 합의를 통해 자체적으로 수행한다. 한마디로 일반 사용자의 상위에 존재했던 중앙기관, 규제기관, 중개기관 같은 제3자가 필요 없다. 이것이 블록체인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인 탈중앙화다.

블록체인의 네 가지 특징

  1. 탈중앙화 - 정부, 은행 등 중개기관 없이 거래 가능
  2. 보안성 - 거래 정보를 다수가 공동으로 소유하며 관리
  3. 투명성 - 모든 거래 기록이 공개되어, 쉽게 접근 가능
  4. 확장성 - 거래 정보 원장을 기반으로 본인인증, 상품 이력 추적, 지급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로 연결 및 확장 가능

2019년 12월 한국은행에서 주최한 분산원장 세미나에서 세계은행 사례가 소개되었는데, 거기서 주장하는 내용 중 하나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이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비교

구분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참여자 모든 사람 참여 허가를 받은 사람
관리 주체 모든 참여자 관리기관 또는 권한이 있는 참여자
익명성 사용자 식별 불가 사용자 식별 가능
블록생성 방식 채굴을 통한 작업증명 룰 기반의 합의

3.2 왜 다시 블록체인인가

세대별 블록체인

3.2.1 1세대: 비트코인

통상적으로 비트코인을 1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부름. 블록체인은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핵심 기술로 탄생했으며 지급결제 수단의 역할을 담당함. 그러나 거래 속도와 블록 크기 제한으로 비즈니스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제약사항이 발생하며 한계점이 지적됨.

3.2.2 2세대: 이더리움

2014년 비탈리크 부테린(Vitalki Buterin)에 의해 개발된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ereum)을 통해 1세대 비트코인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거래 속도와 블록 크기의 문제를 해결. 거래 속도는 20초 내외로 줄이고, 블록 크기는 무제한으로 설정.

또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를 통해 화폐 수단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었던 1세대 블록체인을 어디서든 활용 가능한 플랫폼으로 확장함.

스마트 계약은 실행 조건을 블록체인에 넣고, 이 조건이 충족되면 약속된 거래가 진행되는 기능.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면 블록체인에 상세한 거래 조건을 부여해 부동산 매매, 차량 임대, 보험금 청구 같은 다양한 거래를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거래에 필요한 서류 작성 같은 별도의 과정이 생략되어 간편하고, 중개자도 필요 없기 때문에 수수료가 절감되며 처리 기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블록체인을 통해 계약 내용이 투명하게 검증되고 관리되어 부정이나 사기를 막는 것도 가능.

이더리움은 또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을 지원.

3.2.3 3세대: 이오스(EOS), 에이다(ADA), 퀀텀(Quatum) 등

거래 검증 방식을 변화시키 블록체인 기술.

채굴 기반의 작업증명방식(PoW)는 참여자 간 경쟁을 유도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투입된다는 단점이 있음.

여러 가지 알고리즘이 있는데 그 중 지분증명으로 거래 거증을 하는 PoS(Proof of Stake) 가 많이 언급됨. PoS는 발행된 암호화폐 중 본인이 보유한 암호화폐 지분율에 따라 거래를 검증할 수 있는 권한을 더 많이 부여하는 방식.

이 외에도 자신의 암호화폐 지분을 위임해 블록을 생성하는 궈한을 주는 DPoS(Delegated Proof of Stake)와 암호화폐의 지분, 거래 횟수, 거래량 등을 통해 참여도를 측정해 중요도가 높은 노드(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권한을 주는 PoI(Proof of Importance) 등 다양한 거래 방식이 검토되고 있음.

ICO(Initial Coin Offernig)은 사업자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투자자에게 판매해 자금을 확보하는 것. 주식시장에 상장해 기업의 주식을 투자자에게 판매해 자금을 확보하는 기업공개, 즉 IPO(Initial Public Offering)와 유사.

ICO와 IPO 차이점

1. 거래소 상장 여부. IPO를 통해 얻은 주식은 증권거래소를 통해 거래가 가능하지만 ICO로 얻은 코인은 모든 암호화폐거래소에서 상장된다는 보장이 없음

2. 투자 결과로 얻는 권리의 차이. IPO를 통해 주식을 얻게 되면 주주가 되어 기업 운영에 관여 가능. 또한, 주식 보유량에 따라 의결권을 얻어 경영에 참여할 권리를 갖음. 하지만 ICO는 경영 참여 권리가 없음

3. 법적 절차의 유무. IPO는 법으로 정한 절차대로 회사의 자분구조 심사부터 시작해 경영실적, 재무와 회계감사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며 통상 1~2년의 준비기간 소요. ICO는 (국가마다 다르지만) 구체적인 법률 조항이 없어 쉽게 자금 확보 가능.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인 텔레그렘은 두 차례의 ICO를 통해 투자자에게 고작 132페이지의 백서만 제공하고도 약 17억 달러(1조 8천억 원)의 투자금을 확보함.

그래서 사기꾼도 많음. 국내는 2017년 9월 암호화폐 거래 과열과 사기성 ICO의 등장을 이유로 규제당국인 금융감독원이 전면 금지를 내린 상태.

4 제2장 금융, 블록체인을 만나다

4.1 비욘드 핀테크 시대의 개막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는 2022년 블록체인 기술로 금융업 전반에 있어서 비용 절감 규모가 약 200억 달러(21조 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 주니퍼 리서치(Juniper Research) 에서 밤행한 '블록체인의 미래, 핵심기회와 도입전략' 보고서에서도 금융기관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경우, 2024년까지 연간 약 10억 달러(1조 1천억 원), 2030년까지 최대 약 270억 달러(30조 원)를 절감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가 거래 정보를 알 수 있고 금융기관과 같은 제3의 공인된 기관이 필요 없어 개인 대 개인, 즉 P2P거래까지 지원해 제반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금융권에서도 제공하지 못했던 P2P 전자결제, 스마트 계약 같은 서비스와 융합도 쉬워진다. 이는 핀테크 생태계가 더욱 풍성해지는 효과를 낳는다. 블록체인 기술의 높은 안정성과 무결성을 고려할 때 블록체인이 더해진 핀테크 서비스는 금융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내는 등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이 정보 전달의 신세계를 열었다면 블록체인은 신뢰 구축 방식을 새롭게 정의할 것이다.

비용절감은 결국 그 업무를 하던 사람들의 해고를 의미한다. 새로운 업무를 찾지 못하는 사람은 결국 일자리를 잃을 수 밖에 없다. 사전에 준비하고 적응해야 한다.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해고를 기다리는 사람인가? 아니면 새로운 능력을 찾아서 기르는 사람인가?

4.2 암호화폐의 재발견

4.3 블록체인이 바꿔놓을 금융의 신세계

4.4 플랫폼 주도권을 위한 월렛 전쟁

4.5 인슈어테크를 완성하다

4.6 블록체인 시대의 투자법

4.7 블록체인, 금융업의 혁신 모멘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