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19일

라이언양 위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 소개

2020년 4월 19일의 기록. 엄청나게 많은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보다가 기분전환으로 카페에 나와서 영어공부를 했다. 신난당.

2 영어

2.1 (TED) How changing your story can change your life by Lori Gottlieb

세 번째 과제

  • 저한테 그런 편지를 쓴 여성 또한 덫에 걸린 기분이겠죠. 그녀가 결혼생활을 계속한다면 다시는 남편을 신뢰할수 없을거고 만약 그녀가 그와 그만 산다면 자녀들이 고통받겠죠.
The woman who wrote me that letter also feels trapped. If she stays with her husband, she'll never trust him again. But if she leaves, her children will suffer.
  • 실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 이야기 상황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되는 만화예시가 하나 있는데요. 만화에는 철창을 절박하게 흔들며 빠져나가려고 시도하는 죄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오른쪽 왼쪽 다 개방되어 있어요. 철창은 없죠. 죄수는 감옥에 있지 않아요.
There's a cartoon that I think is a perfect example of what's really going on in these stories. The cartoon shows a prisoner shaking bars, desperately, and trying to get out. But on the right and left, it's open. No bars. The prisoner isn't in jail.
  • 우리 대부분이 그래요. 우리는 옴짝달싹 못하는 스스로의 감정의 감옥에 갇혀있는 거죠. 하지만 우리는 철창을 지나 자유를 향해 나오지 않아요. 그곳엔 또 다른 함정이 있어서죠. 자유는 책임과 함께 오거든요. 이야기 속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지게 된다면 우리는 변해야 할거니까요.
That's most of us. We feel completely trapped, stuck in our emotional jail cells. But we don't walk around the bars to freedom because we know there's a catch. Freedom comes with responsibility. If we take responsibility for our role in the story, we might just have to change.
  • 그리고 그것이 우리 이야기들 속에서 제가 흔히 보는 주제인 변화입니다. 어떤 사람이 "나는 변하고 싶어." 라고 말하지만 그 말의 진짜 뜻은 "저는 이야기 속 다른 인물이 변했으면 해요." 일겁니다. 상담사들은 이 딜레마를 "만약 여왕이 남자로 태어났다면 (용기라는게 있었다면) 왕이 되었겠지…." (아무 소용도 없는 ifs and buts를 구시렁대며 핑계대는) 상황이라고 설명합니다만, 말이 안되죠, 너무해요, 그렇죠? 우리라고 왜 변하고 싶지 않겠어요? 우리가 주연인데요…
And that's the other common theme that I see in our stories: change / Those are the stories sound like this: a person says, "I want to change", but what he really mean is, "I want another character in the story to change." Therapists describe the dilemma as, "If the queen were born as a man, she'd be the king." / But it makes no sense at all, right? Why wouldn't we want the protagonist to change? Who's the hero of the story?
  • 변하지 못하는 이유는, 변화란, 아무리 긍정적이라 해도, 너무 많은 손실을 동반해서 그렇죠. 익숙함을 잃는거니까요. 그 익숙함이 불행하고 비참하더라도, 최소한 등장인물과 배경과 줄거리는 잘 알고 있자나요. 심지어 이 이야기에서 반복되는 대화까지 이미 잘 알고 있죠. "너는 절대 빨래를 안하쟈나!" "나 저번에 했단말야!" "진짜? 언제했는데?" 매번 이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정확히 안다는게 우리는 이상하게도 무척 편한 겁니다.
It might be because change, even really positive change, involves a surprising amount of loss. Loss of the familiar. Even if the familiar is unpleasant or utterly miserable, at least we know characters, settings and plot. We even know right down to the recurring dialogue in this story. "You never do the laundry!", "I did it last time!", "Oh, yeah? When?" / There's something oddly comforting about knowing how exactly the story is going to go every single time.
  • 이야기의 새로운 챕터를 쓴다는 것은 미지로의 모험을 뜻합니다. 빈 페이지를 바라보는 것과 같아요. 그리고 대부분의 작가가 말하듯, 빈 페이지보다 무서운 것은 없습니다. 그런데 말예요... 일단 이야기를 편집해서 바꾸면 다음챕터 부터는 쓰기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To write a new chapter is to venture into the unknown. It's to stare at a blank page. And as any writer will tell you, there's nothing more terrifying than a blank page. But, here's the thing. Once we edit our story, the next chapter becomes much easier to write.
  • 자신을 알아야 한다는 얘기를 우리는 많이 합니다. 하지만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 중 한 부분은 잘 알던 옛 자신을 잊고 모르게 되는 겁니다. 지금까지 스스로에게 되뇌이던 버전은 잊고 진정한 새 삶을 사세요. 그게 바로 철창을 지나서 나와 변화를 겪고 자유를 얻는 겁니다.
We talk so much about getting to know ourselves. But part of getting to know yourself is to unknow yourself. Let go of the one version of yourself you've been telling and go live with your real life. That's how we walk around those bars to be free and to be changed.